빙쵸탄, 빈초탄, 비장탄, 그리고 백탄 binchotan 영어판 위키피디아 항목에서 가져온 사진 오늘 책을 읽는데 처음 보는 일어 단어들이 몇 개 있었다. '빙쵸탄'으로 표기된 이 단어도 그랬는데 원서가 영어인지라 일어 사전을 안 뒤지고 구글에서 'binchotan'을 먼저 쳤더니 바로 위의 사진이 나왔다. 영어 항목에도 정성스럽게 한자가 표기되어 있어서 그 덕에 이게 흔히 '비장탄'이라 불리는 숯임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이걸 '비장탄'이라고 그대로 읽는 식으로 번역하지 않은 이유가 물론 있을 것이다. 비장탄은 일단 위의 사진만 보면 거무스레해보이지만 화이트 차콜, 이른바 '흰 숯'으로 직역할 수 있는 숯 계열에 들어간다. 굉장히 높은 화력을 낸다고 한다. 여기서 '흰 숯'에서 연상되는 '백탄'을 국어사전(네이버)에서 찾아보았더니 '1... 말들 6년 전
텐동과 덴돈, 표기법과 미디어의 힘 '뭔가 어색하다.''덴돈'이라는 표기를 그 프로그램에서 보았을 때 처음에는 어색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표기법을 준수한 '모범적인' 표기라는 사실을 알고 있으면서도 올바른 지식과 일상적인 감각이 전혀 일치하지 않았다. 덴돈이라는 이 모범생은 일반적으로는 '텐동'이라고 불려왔기 때문이다. 알다시피 '텐동'은 대접에 밥을 담고 갖은 튀김을 올린 다음 소스를 뿌려 간을 맞춘 덮밥 가운데 하나이다. 일본 음식을 찾아서 즐기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이제는 많이들 알 만큼 흔한 음식이 되었다. 식당에 가면 다들 '텐동'을 달라고 하지 '덴돈'을 달라고 한 사람은 아마 거의 없었을 것이다.그런데 프로그램 제작에 관여한 이들 가운데 조금 더 꼼꼼히 신경쓴 누군가가 있었는지 '덴돈'이라고 표기하자마자 그 가게를 다.. 말들 6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