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빙쵸탄, 빈초탄, 비장탄, 그리고 백탄

category 말들 2019. 3. 6. 11:01

binchotan 영어판 위키피디아 항목에서 가져온 사진


오늘 책을 읽는데 처음 보는 일어 단어들이 몇 개 있었다. '빙쵸탄'으로 표기된 이 단어도 그랬는데 원서가 영어인지라 일어 사전을 안 뒤지고 구글에서 'binchotan'을 먼저 쳤더니 바로 위의 사진이 나왔다.

영어 항목에도 정성스럽게 한자가 표기되어 있어서 그 덕에 이게 흔히 '비장탄'이라 불리는 숯임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이걸 '비장탄'이라고 그대로 읽는 식으로 번역하지 않은 이유가 물론 있을 것이다.

비장탄은 일단 위의 사진만 보면 거무스레해보이지만 화이트 차콜, 이른바 '흰 숯'으로 직역할 수 있는 숯 계열에 들어간다. 굉장히 높은 화력을 낸다고 한다. 여기서 '흰 숯'에서 연상되는 '백탄'을 국어사전(네이버)에서 찾아보았더니 '1. 빛깔은 맑지 못하고 흰 듯하며 화력이 매우 센 참숯'이라는 풀이가 나왔다. 이 풀이만 놓고 보자면 'binchotan'이라 적혀 있었을(원서에 장음 표기가 되어 있는지 모르겠다. o 위에 작은 바(-)가 붙어 있는 식으로) 이 숯을 '백탄'이라고 해도 괜찮았을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다시 '참숯'이라는 단어가 걸린다. '참숯'은 사전을 보면 '참나무 따위를 구워 만든 숯'이라고 나온다. 네이버 국어사전의 메인인 표준국어대사전도, 고려대한국어사전도 풀이는 동일하다. 일단 참나무를 구워 만든 숯은 '참숯'이라는 걸 알겠다. 하지만 '따위'...는 무엇을 말하는 걸까? 참나무 계열 나무를 구워 만든다는 걸까, 아니면 참나무가 아니라도 '참숯'이라는 명칭을 쓸 수 있다는 걸까?

사전에서는 이 의문을 해결할 수 없었다. 어쨌거나 '참나무'가 앞에 나와 있으니 참숯은 '주로 참나무를 구워서 만드는 숯'이라고 생각해보기로 했다. 그렇다면 binchotan은 무슨 나무로 만드는 숯일까? 위키피디아에서는 참나무(oak), 특히 ubame oak라는 나무를 쓴다고 한다. 일본어로는 우바메가시ウバメガシ라는 나무인데 이 나무를 다시 일한사전에서 찾아보면 '너도밤나뭇과의 일종'이라고 나온다. 여기서 '가시'란 다시 '떡갈나무'를 가리키며 이것도 참나무의 일종이다. 그러니 결국 '빙쵸탄'은 '백탄'과 거의 동일한 숯이라고 할 수 있는 셈이다. 둘 다 참나무 '따위'로 만드는 숯이고, 색깔이 아주 검지 않고 거무스레하며, 매우 높은 화력을 낸다는 점에서 '빙쵸탄'을 '백탄'이라고 번역했어도 큰 무리는 없었을 거라 생각한다.

불타는 빈초탄, 사진 출처는 위의 사진과 동일


마지막으로 '비장탄'에 대해 좀더 생각해보려 한다. 블로그 등을 돌아다니다 보면 가끔 만날 수 있는 단어라 내게도 익숙한 말이었다. 하지만 '빙쵸탄'을 '비장탄'으로 옮기지 않은 시도는 괜찮았다고 생각한다. 일단 한국어 사전에 나오지 않는 단어이고, 이 '비장탄'이라는 게 '비장', 그러니까 일어로 읽자면 '빈초(야)'라는 사람이(표기법 이야기는 아래에 하자) 만들어 팔았기 때문에 그런 이름이 붙은 거라고 한다. 80년대까지만 해도 이등박문(이토 히로부미)이니 가등청정(가토 기요마사)이니 하면서 이름을 한국 한자 발음대로 쓰는 표기도 제법 보였지만 요새 이름을 이렇게 읽다가는 촌스러움을 면치 못할 것이다. 특히 책에서는.

그러니 binchotan으로 나왔을 원서의 단어를 어딘가에서(?) 찾아서 '빙쵸탄'이라고 고유명사처럼 취급해 번역한 고심도 이해할 수 있기는 하다. (재미있는 건 '빙쵸탄'이라고 네이버에서 쳐보면 숯이 주인공인 애니메이션이 등장한다...;;;) 하지만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binchotan은 '백탄'과 그리 다르지 않은 숯이다. 백탄이라는 말이 귀에 익지 않아 선택하지 않은 거라면 '빙쵸탄'은 귀에 익은 말이었을까? 책을 꼼꼼히 살피지 않아서인지 이 '빙쵸탄'에 대한 설명을 찾아볼 수 없었는데(눈에 걸린 다른 단어 중 하나인 '우수구치' 설명은 금방 찾았지만) '높은 화력을 내는 거무스레한 숯'이라고 설명해줬으면 생소함이 덜했을 거라는 아쉬움이 있다.

게다가 '빙쵸탄'이라는 표기는 국립국어원에서 제시하는 일본어 표기법에 맞지 않는다. '빈초탄'이라고 해야 정확하다. 이는 영어로 된 책에 나오는 일본어를 다시 옮기는 과정에서 나온 부산물 같은 거라고 생각한다. 영어로 책을 쓴 저자가 사용하는 일본어 단어를 어떻게 표기해야 하는가라는 문제인데 기왕이면 표기법에 맞게 표기했으면 더 좋았을 것 같다. 물론 일본어 말고도 프랑스어 등의 외국어 단어도 있으니 일일이 신경쓰기 어려웠을 거라는 점은 짐작이 간다(한 책 안에 여러 나라 고유명사가 나오기 시작하면 체크하기가 엄청 힘들어진다).

자, binchotan이 '빙쵸탄', 혹은 '백탄'이 되기까지 이런 복잡한 과정이 있다. 영어 철자로 표기한 일본어를 웹에서 뒤져 실체를 확인한 다음, '비장탄'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숯임을 알아낸다. 이걸 한국어로 가급적 정확히 표기한 단어가 없을지 국어사전을 뒤진다. 다시 binchotan은 어떤 나무로 만들고, 한국어의 '참숯'과 '백탄'은 어떤 나무로 만드는지 매치시켜본다. 중간에 일어 사전과 일본어 웹도 들어갔다 왔으니 한 단어를 위해 최소 서너 번의 확인 절차를 거쳐야 하는 셈이다. 표기법에 익숙지 않은 사람이라면 그것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나는 표기법을 지키지 않았다거나 내 마음에 드는 단어를 찾아 번역하지 않았다고 해서 전혀 부정적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누가 어떤 말을 쓰든 그건 그 사람의 자유이고 의사소통에 큰 지장이 없다면 무슨 상관인가(물론 말과 글이 업인 사람은 좀더 신중해야 할 필요가 있지만). 나는 단지 누가 어떤 단어를 왜 그렇게 썼는지, 대안은 없는지, 나름으로 생각해보고 싶을 뿐이다. 사람들이 제각각 깊이 좋아하는 것이 있듯이 내가 아주 좋아하는 것, 얘기해보고 싶은 것이 언어이고 말일 뿐이다. 



'말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형의 격심한 피로  (0) 2019.09.25
그분이 보신 일본 책들ㅡ30여 년 전의 어떤 풍경  (0) 2019.09.05
전기양의 꿈?  (0) 2019.06.20
금자탑이란 말의 발음  (0) 2019.03.06
텐동과 덴돈, 표기법과 미디어의 힘  (0) 2019.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