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4 특색이 있는 운용
광역연계・운용
도도부현의 경계에 묶이지 않고 닥터헬리 사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여러 도도부현에서 협의할 수도 있다(닥터헬리법 5조 2항).
실시 지역
후쿠오카 현 구루메대학병원에서는 사가 현 동부와 오이타 현, 야마구치 현 외딴섬 등을 공동으로 담당하고 있다.
나가사키 현 나가사키의료센터는 사가 현 서부를 공동으로 담당하고 있다.
가나가와 현 도카이대학의학부속병원은 협정을 체결한 아먀나시 현 일부를 담당하고 있다[5].
오키나와 현 우라소에종합병원에서는 협정을 체결한 가고시마 현 남부까지 출동하고 있다.
기타칸토 3현(도치기, 이바라키, 군마)은 닥터헬리를 상호 이용하게 함으로써 응급의료체제의 강화를 모색하고 있다. 사이타마 현도 참여를 검토하고 있다. 2011 년 4 월부터 시작 예정.
사이타마 현과 군마 현은 2015년 3월 25일부터 2016년 3월 31일까지 닥터헬리를 상호 이용하기로 하고 운용을 시작했다. 중복 요청이나 환자가 많이 발생했을 때는 현 경계를 넘어 일부 지역에까지 출동한다[6].
도호쿠 지방
기타토호쿠 3현(아오모리, 이와테, 아키타)의 닥터헬리는 재해 등이 일어났을 때 현내 헬기가 출동할 수 없는 경우 다른 현에 출동 요청을 할 수 있다[7]. 2016년부터 도호쿠 6현의 인접현 상호 이용 체제가 정비되고 있다.
간사이 광역연합
2010년 12월 1일부터 긴키 지방 부현이 연계하여 간사이 광역연합이 발족했는데 이 광역행정 대상 일곱 개 사업 가운데 하나로 ‘광역의료’라는 분야가 있어 이후 닥터헬리 배치・운항이나 응급의료 연계계획을 책정할 예정이다. 도쿠시마 현에 광역의료국이 설치되어 있다. 2011년부터 효고 현・교토 부・돗토리 현이 공동 운항하고 있는 공립도요오카병원 다지마구명구급센터 닥터헬리 사업이 간사이 광역연합에 이관되었다. 이는 전국에서 첫 시도이다.
또한 구성단체인 지자체에서 적극적으로 광역연계를 꾀하고 있다.
효고 현에서는 공립도요오카병원 다지마구명구급센터 ‘3부현 닥터헬리’가 효고 현 북부・교토 부 북부・돗토리 현을 망라하며 현립 가고가와의료센터의 ‘효고 현 닥터헬리’가 효고 현 하리마와 단바 남부를 담당하고 있다.
오사카 부의 닥터헬리 사업은 나라 현과 시가 현(2011년 예정)에서 공동 운용하고 있다. 현재 오사카 부 닥터헬리는 시가 현・교토 부 남부・와카야마 현과 나라 현 일부를 담당한다.
와카야마 현의 닥터헬리 사업은 미에 현과 나라 현에서 공동 운용하고 있다. 현재 와카야마 현 닥터헬리는 미에 현・오사카 부・나라 현・도쿠시마 현의 일부를 담당한다.
오사카 부・와카야마 현의 닥터헬리 사업과 도쿠시마 현의 방재헬기 닥터헬리 운항사업은 상호 이용을 공동으로 운용하고 있다.
또한 도쿠시마 현 닥터헬리는 효고 현 아와지, 와카야마 현과 고치 현 일부를, 시가 현과 교토 부가 공동 운행하는 ‘교시 닥터헬리’(거점 병원은 사이세이카이시가현병원)는 시가 현 전역과 교토 부 남부, 후쿠이 현 레이난(후쿠이 현은 2018년 9월 29일부터 운용 시작[8])을 담당하고 있다.
도야마 현・기후 현 북부
도야마 현은 2015년 8월 24일에 도야마현립중앙병원을 거점으로 닥터헬리 운행을 시작했는데[9] 그에 앞서 2015년 7월 10일 닥터헬리를 도야마 현, 기후 현 히다 지구 북부와 공동광역운행하기로 협정을 체결하여 이날부터 연계운행도 시작했다. 기후 현의 운용 지구는 다카야마 시, 히다 시, 시라카와무라 3개 지역[9]이다.
이제까지 기후 현에서는 2011년 2월 9일부터 기후대학 의학부 부속병원을 거점으로 삼고 기후 현 닥터헬리 사업을 시작했지만, 남북 간 거리가 먼 기후 현에서는 히다 지구 북부가 운행 범위로서는 너무 먼 약 70킬로미터(15분)권 밖에 있어 시간이 걸리고 산간 지역이 많아 요청이 거듭되어도 출동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그런데 인접한 도야마 현 측에서 위 지구까지는 약 70킬로미터 권내이므로 협정을 체결하게 되었다. 또한 기후 현 측의 이용 비용은 이용 실적에 따라 기후 현이 부담하게 되어 있다.
양 현 경계에 히다 산맥이 있어 동절기와 장마철에는 기상 환경 때문에 출동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지만 전문가와 상담하여 이를 극복할 여지를 찾고 있다. [10]
민간구급헬기
1999 년 4 월부터 하마마쓰구급의학회가 일본에서 처음으로 민간구급헬기를 운용했으며 그 이전에 오카야마 현 가와사키의대병원도 실험적으로 운항했으나 단기간에 그치고 말았다. 우라소에종합병원도 예전에는 민간구급헬기 사업을 실시했지만 현에 닥터헬리가 배치되면서 현 닥터헬리 사업으로 이행했다.
현재 운항하고 있는 도도부현은 오키나와 현, 후쿠오카 현, 가고시마 현의 세 의료기관 및 도쿄 도의 사단법인이다.
화이트버드
목적: 외딴섬 및 벽지 등 의료 소외 지역의 응급의료 개선에 공헌한다[11].
사업주체: 의료법인재단 주카이(후쿠오카), 후쿠오카 와지로 병원, 후쿠오카 신미즈카이 병원, 신코몬지 병원, 신유쿠하시 병원
MESH
민간구급헬기 MESH
지원조직: MESH서포트[12]. 현에서 보조금이 중단되었기 때문에 재정이 부족해 무기한 운항 정지 중.
북부지구의사회병원[13] (나고 시)
AMSAD
일반사단법인 방재의료항공지원회
도쿄헬리포트를 본거지로 삼고 일반 민간 헬기를 이용해 활동하고 있다.
의사, 간호사 등 의료 스태프를 재해 현장으로 이송, 상황에 따라 재해를 입은 사람을 이송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레드윙
사회의료법인 료쿠센카이 요네모리 병원(가고시마 시)
사립 요네모리 병원이 운항하는 의료용 헬기[14]. 가고시마 현과 사회의료법인 료쿠센카이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닥터헬리 보완협정 ‘가고시마 현 닥터헬리 보완 헬기의 응급환자 이송에 관한 협정’을 체결하여 가고시마 현 닥터헬리가 중복 요청을 받거나 환자가 많이 발생하는 등의 경우에 요네모리 병원의 민간응급의료헬기 ‘레드윙’이 소방요청에 따라 정식 닥터헬리로서 출동하도록 보완하고 있다[15].
U-PITS(폐지됨)
2005년부터 보소종합병원(보소 시)이 민간구급헬기 U-PITS을 운용했지만 2008년부터 오키나와 현 닥터헬리 사업으로 이행했다.
특정비영리활동법인 올라운드헬기ARH(무기한 중지 중)
게센누마 시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민간의료용 다목적 헬기. 기본적으로는 응급의료사가 동승하지만 의사가 동승하기도 한다. 재정 부족으로 2015년 11월 18일부터 무기한 운휴를 결정했다.
'닥터헬리와 응급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닥터헬리 일본 위키피디아(5) (0) | 2019.03.01 |
---|---|
닥터헬리 일본 위키피디아(4) (0) | 2019.03.01 |
닥터헬리 일본 위키피디아(2) (0) | 2019.03.01 |
닥터헬리 일본 위키피디아(1) (0) | 2019.03.01 |
지금까지 살펴본/살펴보고 있는 닥터헬리 관련 자료(계속 갱신됨) (0) | 2019.03.01 |